<
  • 오펜하이머 개봉일 관람한 후기 / 출연진 정보, 흑백화면 해석 등 영화보고 궁금했던 내용들 총정리

    2023. 8. 15.

    by. 별빛슬픔

    반응형

    오늘 국내 개봉한 크리스토퍼놀란 감독의 영화 오펜하이머를 오전일찍 보고왔습니다.

    보고나서 3시간이라는 러닝타임이 믿겨지지 않을 만큼 몰입도 높게 잘 보고 왔는데요, 보면서 많은 분들이 궁금해할 것 같은 내용들 위주로 정리해서 내용 공유드리려고 합니다.

    오펜하이머 개봉일에 관람한 후기와 출연진들에 대한 정보, 흑백화면에 대한 해석 등 영화 전반적으로 궁금했던 내용들을 알려드릴게요

     

     

     

     

    영화 오펜하이머는?

     

    나는 이제 죽음이요, 세상의 파괴자가 되었다


    영화 오펜하이머는 세계2차대전 당시 로버트 오펜하이머가 미국의 핵개발 프로젝트인 맨해튼 프로젝트에 참여하여 원자폭탄을 개발하게 된 역사에 대한 전기 영화입니다.

     

    주인공은 역시 로버트 오펜하이머로 킬리언머피 배우가 맡았으며, 그의 아내였던 키티 역할은 에밀리 블런트가, 그 외 맷 데이먼, 로버트 다우니 주니어, 플로렌스 퓨 외에도 영화를 보시면 "저 배우?" 하면서 한참 쳐다보게될 유명한 배우들이 대거 등장합니다.

     

    보시기 전에 주목해야할 내용은 이 영화는 크리스토퍼 놀란 감독의 이전 영화들과 조금 다르게 액션이나 공상과학 등 과학적 지식이 필요한 영화가 아닌, 로버트 오펜하이머라는 인물 자체의 대학원생시절부터 노년기 까지의 전반적인 흐름, 그리고 그의 내면의 감정 변화와 주변 인물들과의 대립 등에 좀 더 초점을 맞췄다는 점입니다.

     

    물론, 영화에 나오는 원자폭탄 실험장면은 예고편에서 보셨다싶히 이미 유명하고, CG없이 촬영했기로 유명하지만

    그 외 더 화려한 장면과 액션을 기대하신다면 약간의 실망감이나 의문이 들 수 있으니, 꼭 참고해주세요!

    오펜하이머 등장인물&#44; 흑백화면&#44; 주요 장면 소개 등

     

     

     

     

     

    오펜하이머의 주요 등장인물

     

    영화 오펜하이머에 나오는 주요 등장인물들을 소개해드리겠습니다.

     

    1. 킬리언 머피 - 로버트 오펜하이머

    영화의 주인공이자 시작부터 끝까지 중심에 서있는 인물입니다. 

    사진에서 보시다 싶히 영화에서도 보시면 정말 닮은 인물로, 영화를 보시면 이 배우가 연기를 한다는 생각보다는 오펜하이머가 실제로 나와서 우리에게 그 시대를 보여주는 듯한 느낌을 많이 받았습니다.

     

    얼굴 하나하나에 들어나는 고뇌와 그 표현력이 정말 대단했습니다.

     

    2. 에밀리 블런트 - 키티 오펜하이머 역

    오펜하이머의 부인이자, 노년까지 끝까지 곁을 지키며 응원해주는 역할의 에밀리 블런트가 연기한 키티 오펜하이머입니다.

    영화속 키티 부인은 묵묵히 가정을 지키는 역할이 아닌, 옆에서 힘을 내게 해주며, 때론 방황도 하지만 옆에서 격려와 응원 그리고 분노까지 같이 해주는 역할입니다.

     

    잠시 후 소개할 플로렌스 퓨가 연기한 진 태트록과 함께 연인으로서의 삼각관계에 놓이며 혼란과 질투를 보여주기도 하지만, 끝까지 오펜하이머의 곁을 지키게 됩니다.

    그 상황속에서의 에밀리 블런트의 연기를 눈여겨 보시는것도 관전 포인트입니다.

     

    3. 맷 데이먼 - 레슬리 그로브스 역

    맷 데이먼이 연기한 레슬리 그로브스는 맨해튼 프로젝트를 지휘하는 총괄 역할입니다.

    전시 상황에서 맨해튼 프로젝트가 성공적으로 진행될 수 있도록 오펜하이머를 지지, 도와주며 지원해주고, 정부와의 중간다리 역할을 하며 끝까지 성공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역할입니다.

     

    영화 내에서 로버트다우니 주니어와 함께 영화내내 오펜하이머에게 외적으로 영향을 계속해서 끼치는 역할입니다.

    실제로도 오펜하미어와 절친관계를 끝까지 유지하며, 영화 내 청문회에서 오펜하이머에게 힘을 실어주는 발언들을 이어나갔습니다.

     

     

    4. 로버트 다우니 주니어 - 루이스 스트로스 역

    영화를 보고 나온 뒤 많은 분들이 궁금해하시는 사람이 바로 로버트 다우니 주니어가 연기한 루이스 스트로스 입니다.

    영화 시작부분부터 흑백화면으로 나와 영화 말미까지 속내를 모르게, 약간의 반전을 보여주는 연기를 했는데요,

    마블 아니더라도 이 배우의 연기력을 다시한번 보게 된 영화인 것 같습니다.

     

    이 인물 역시 실존인물로서 영화에서 오펜하이머가 루즈벨트 대통령, 트루먼 대통령과의 관계가 틀어지고, 본인에게 수모를 당한일이 있자 그 이후로 공격하기 시작합니다.

    소련의 스파이로 몰아가며 한 인물은 철저하게 괴롭히며, 영화 내에서는 폭발력있는 연기로 관객들의 몰입감을 높여주고, 더욱 집중할 수 있게 만들어 줍니다.

     

    5. 플로렌스 퓨 -  진 태트록 역

     

     

    마블 영화인 블랙 위도우와 드라마 호크아이에서 출연했던 블랙위도우의 여동생인 엘레나 역할로 저에게는 알려진 배우입니다. 

     

    영화 초반, 그리고 중반부에 오펜하이머에게 내적인 영향을 끼치는 인물로 후반부 오펜하이머의 내적갈등과 죄책감 등에 영향을 끼치는 인물입니다.

     

     실제로 미국 공산당 소속이었던 정신과 의사로 오펜하이머와 실제 연인관계였던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그의 청혼을 2번이나 거절했다고 알려져있습니다.

     

    [오펜하이머] 공식 티저 예고편 - YouTube

     

     

     

     

     

     

     

     

     

    오펜하이머에서 흑백 화면의 의미는?

     

    영화 오펜하이머를 보신 분들은 영화에서 흑백화면과 컬러화면이 번갈아 나오는 장면에서 의아함을 느끼셨을 겁니다.

     

    영화에서 컬러화면은 오펜하이머의 주관적인 시점을 의미하며

    흑백화면은 로버트 다우니 주니어가 연기한 루이스 스트로스의 시선이며 객관적인 역사를 의미합니다.

     

    로버트 다우니 주니어가 나올때만 흑백화면이 되어, 인물로 해석할 수 있지만, 영화 중간부에 보면 잠시 로버트 다우니 주니어와 킬리언 머피가 대화하는 장면에서 컬러화면이 나오는걸 보실 수 있습니다.

     

    보시다싶히, 오펜하이머의 시점에서의 화면들은 컬러화면으로, 그리고 루이스 스트로스의 시선은 흑백화면으로 보실 수 있습니다.

     

     

     

     

    오펜하이머에서 원자폭탄 장면은 CG 없이?

     

    네. 개봉전부터 유명한 원자폭탄 실험장면은  CG없이 진행되었다고 합니다.

     

    다만, CG없이 원자폭탄 장면을 연출한 탓에 엄청나게 임팩트 있는 장면을 기대하면 조금 아쉬울 수 있습니다.

     

    그저, 원자폭탄이 실제로 터진다면 이런 느낌이겠구나를 아주 잘 느낄 수 있도록 표현되어 있습니다.

     

     

     

    마치며

     

    이상으로 영화 오펜하이머의 상세 후기와 등장인물들에 대한 내용, 그리고 영화에 흑백화면에 대한 해석 등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정말 3시간이라는 러닝타임이 순식간에 흘러갈 정도로 즐거운 영화였으니 꼭 보시길 바랍니다.

     

    반응형